📌
저는 아직까지 근로장려금을 신청해본적은 없습니다. 하지만 주변에서 신청하시는 분들도 꽤 있고, 부모님이 신청한 적이 있어서 근로장려금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이 있는듯 합니다.
이 제도는 정부가 저소득 근로자를 지원하는 혜택입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요즘 요건이 된다면 무조건 받는것이 이득인것은 당연한 일이겠죠?
1. 왜 근로장려금인가?
근로장려금은 금전적 보조를 한다는 것을 넘어, 경제적 어려움과 노동 의욕을 동시에 해결하려고 만든 제도입니다. 생계 부담이 있는 분들에겐 이런 지원금은 큰 힘이 되겠죠. 이 제도는 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단지 돈을 받고 끝내라는 것이 아닌 더 많은 사람들이 일을 유지하며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욕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라고 합니다. 비록 자신과 상관이 없는 것일수도 있지만 주변에 필요한데도 몰라서 못 받는 분이 계시다면 도움을 주는것도 좋은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2.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대상자는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단독가구,홑벌이가구,맞벌이 가구처럼 가구 유형별로 소득기준이 다름)
-단독가구 : 연 소득 2,200만원 이하
- 홑벌이가구 : 연소득 3,200만원 이하
- 맞벌이가구 : 연소득 4,400만원 이하
* 가구 재산 역시 중요합니다. 가구원 합산 재산이 2억 4,000만원 이하만 신청 가능(1억 7,000만원 초과하면 지급액 감소)
* 근로소득,사업소득,종교인 소득이 있어야 함(금융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3. 장점과 단점 비교해보기 (사실 장단점이랄게 없다. 장점뿐이지 않나?)
근로장려금의 큰 장점은 당연히 경제적 여유입니다. 이 돈으로 생활비 및 대출상환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론 소득과 재산 요건의 충족인데 이런 제도는 항상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2,200만원이라고 할때 2.210만원이면 받을수 없는건 못받는 사람에겐 약간 억울한 느낌도 갖게 하지만 모든 제도는 어쩔수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기간을 놓치면 혜택을 전혀 받을수 없다는 점은 항상 유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4. 신청은 어디서?
신청 방법은 사실 굉장히 간단합니다. 국세청 홈택스나 모바일 앱 '손택스'를 이용하면 온라인으로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화로 국세청 ARS(1544-9944)를 통해서도 가능하고, 안내 대상자는 사전 동의를 통해 자동신청도 가능하다고 하니 이런 부분을 잘 활용하면 좋을듯 합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5월의 정기 신청 기간 안에 신청하면 가장 유리합니다. 만약 정기 신청 기간을 놓쳤다면, '기한 후 신청'도 가능하지만 지급액이 10% 줄어드니 꼭 기간을 지켜 신청하셔야겠죠?
만약 신청 대상인지 헷갈린다면, 국세청에서 사전에 발송하는 신청 안내문을 꼭 확인해보세요!
5. 그 외 궁금한 점
*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
- 국세청에서 사전에 발송하는 안내문을 확인 또는 홈택스에서 본인의 소득과 재산을 입력해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신청이 미뤄지면 받을 수 없나?
- 정기 신청 기간을 놓친 경우에도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급액이 10% 감액.
* 지급까지 얼마나 걸리나?
- 정기 신청의 경우, 8월 말에 대부분 지급. 지급 심사는 몇 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음.
* 근로소득이 없어도 지원 가능한가?
- NO.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 중 한 가지 이상이 반드시 있어야 대상이 됨.
✅ 결론
근로장려금은 소득요건과 재산요건이 충족된다면 무조건, 반드시 신청해서 혜택을 챙겨야 한다. 복잡해 보이는듯 하지만 생각보다 단순해서 신청하기는 어렵지 않다. 혹여 정기 신청을 놓쳤다고 해도 기한 후 신청이라도 꼭 신청하자.
다 필요없고, 나라에서 주는건 받을수 있을때 다 받아보자!!!
'세상을 바라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한맛이 느껴지는 연수동 숨은 맛집 - 이색한우곰탕 (2) | 2025.03.19 |
---|---|
금투자, 지금해도 될까? (1) | 2025.03.19 |
전세가 처음이라면 꼭 알아두자! (전세계약 안전팁) (3) | 2025.03.16 |
퇴직 이후의 삶, 재취업과 창업을 위해 (4) | 2025.03.15 |
폭싹 속았수다 - 내 엄마의 삶도 빛났던 적이 있었을까? (1) | 2025.03.14 |